[닥집 부동산 정보] "토지대장" 쉽게 알아보기!

2024. 7. 16. 14:00부동산 정보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안녕하세요!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입니다.

 

오늘은 "토지대장" 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토지대장"은 무엇일까요?

 

토지대장이란 ?

토지의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토지의 주된 사용목적), 면적, 소유자 등을 기록하는 장부입니다.

 

이름이 비슷한 토지 등기부등본과는 다릅니다.

토지 등기부등본은 권리관계가 중심이고, 토지대장은 토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중심입니다.

 

지금까지 등기부등본과 건축물대장을 알아보았는데 서류가 늘어날수록 헷갈리시죠!

다시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소유자, 대출 등 권리관계는 "등기부등본"

건물에 관한 정보는 "건축물대장"

토지에 관한 정보는 "토지대장"

 


 

2. "토지대장"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오프라인은 가까운 주민센터나 구청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시 신분증과 신청서가 필요합니다.

온라인 발급은 "정부24"가 있습니다.

집에서 발급이 가능하죠!

 

간단하게 "정부 24"를 통한 온라인 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부24 토지대장 발급

 

정부24 사이트 접속 후

"자주 찾는 서비스 > 토지대장 > 회원 또는 비회원 신청 > 검색 > 발급"

메뉴를 통해 발급이 가능합니다.

 


 

정부24를 통한 공문서 발급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정부24를 통한 로그인은 다양한 인증서를 통해야하고,

토지대장 발급을 위한 복잡한 옵션들이 많죠!

 

정부24

 

여러 가지 공문서는 많은 프로그램 설치와 복잡한 과정을 통해 발급이 가능한데요.
"닥집"을 이용하시면 휴대폰번호만으로 간편하게 가입이 가능하고

간단하게 다양한 부동산 공문서와 법인 등기부등본까지 발급 및 보관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유자, 대출, 건물, 가격 정보까지 간편하게 정리하여 보실 수 있죠!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닥집, 회원가입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닥집, 등기부등본 검색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닥집, 매물 분석

 


 

3. "토지대장"의 구성

 

그럼 토지대장에 대해 알아볼까요!

토지대장은 주로 1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토지대장

 

1)  토지의 표시

토지 자체에 대한 정보로 지목과 면적, 사유가 표시됩니다.

"지목"은 토지의 주된 사용목적으로 공장용지, 학교용지, 주차장, 공원, 종교용지 등 28개 항목으로 표시합니다.

 

2)  소유자

토지의 소유자와 변동일자, 변동원인에 대한 기록입니다.

토지의 권리관계는 토지 등기부등본이 기준임으로 참고만 하시고 권리관계는 꼭 토지 등기부등본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3)  토지등급

90년대까지 사용했고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예전의 토지등급 확인을 위해 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개별공시지가를 사용하고 있죠!

 

4)  개별공시지가

토지와 관련된 다양한 세금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기준금액입니다.

양도소득세, 상속세, 취득세, 등록세 등의 계산에 사용하고

국세, 지방세를 산정할 때도 우선 사용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입니다.

 


 

 

평소 많이 접하지 않아서 생소할 수 있지만

한번 개념을 익혀놓으면 다음에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거예요!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스마트한 당신을 위한 부동산 문서 서비스

"닥집" Doczip

 

▶ 집주인, 대출 정보, 불법 건축물 여부까지 닥집에서 한 번에 확인
▶ 등기부등본 포함 공적 장부 6종을 주소 입력 한 번으로 열람
▶ 부동산뿐만 아니라 법인 등기부등본도 열람 가능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부동산 통합 정보 플랫폼, 닥집 Doczip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부동산 읽어주는 지적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