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ZIP ANALYTICS

[DOCZIP ANALYTICS] 닥집 데이터로 알아보는 7월 3주차 부동산 정보, 부동산 트렌드

닥집 2024. 7. 24. 16:00

DOCZIP ANALYTICS란?


부동산은 가장 비싼 쇼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러한 말처럼 부동산 거래 시 큰 금액이 오가는 탓에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작은 변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신중에 신중을 기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손쉽게 부동산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대체로 2~3개월 전 정보를 담은 후행 지표로 현재와는 맞지 않는 정보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환경에서 최신 부동산 정보를 쉽게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DOCZIP ANALYTICS에서는 현재 서비스 중인 부동산 서비스, 닥집의 데이터를 토대로

매주 변화하는 전국의 부동산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부동산 뉴스를 생생하게 전달해 줍니다.

 


 

지난주의 부동산 관심도는 어땠을까요?

[7월 3주차 닥집 서비스 신규 이용 수]

 

 

7월 3주차는 하락세를 보이는 모습으로 전반적인 그래프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7월 3주차 사용량 중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의 점유율은 77.36%로 수도권 점유율만 본다면

지난주에 비해 0.56% 증가했으나 실제 검색량의 수는 지난주에 비해 2.24% 감소했습니다.

비 수도권 또한 지난주 대비 5.29% 감소하며 전반적인 감소 추세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에는 이하의 이슈들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서울 아파트값 상승 속 신축 강세, 재건축 약세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으며, 커지는 조합원 분담금 부담으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커진 재건축 아파트보다 신축, 준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짐

이는 서울 아파트매매 가격이 6주 연속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건축 아파트는 보합 수준에 그치는 결과로 이어짐


2. 일부 매매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패닉 바잉' 현상

아파트 입주 물량과 2~3년 후의 공급 물량을 가늠할 인허가 착공의 수가 크게 감소하는 등

수급 불균형으로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가 올라가고 있음

이에 따라 서울 일부 지역 매매시장에서 '패닉 바잉' 현상이 나타나며 9월부터 진행되는 은행 대출한도 감소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사람들의 불안감을 자극하며 이 현상을 가속화시키는 중


3. 청약 시장에서 청장년층의 강세

수도권 청약 당첨자 중 30대 이하 비율이 2020년부터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주요 원인으로는 청약 제도가 30대 청장년층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개편된 것이 있음

특별 공급 유형 중에서 신혼부부 및 생애 최초 배정 물량이 절반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함

또한 지난해 4월부터 서울 강남 3구 및 용산을 제외한 모든 규제 구역을 해제하며

100% 추첨제의 당첨 방식도 청장년층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남

위의 원인과 함께 서울 주택 가격 상승에 30, 40대의 청장년층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주택을 매수할 수 있는 청약 시장으로 몰리며 전체 청약 시장에서 50대 이상 청약 당첨자의 비율이

2020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출처-

Delighti : https://www.delighti.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703

채상욱의 아파트 가치 & 가격 연구소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connectedground/aptresearch/contents/240721165401988qf

 


 

전국 시/도의 부동산 관심도는 어땠을까요?

[시/도 지역별 7월 3주차 닥집 신규 이용 수]

 

 

7월 3주차에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주 50%를 넘어선 서울특별시의 점유율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7월 3주차에는 52%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경기도는 1주차 23.01%, 2주차 22.34%에 이어 3주차에는 20.62%

조금씩이지만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먼저 지난주에 비해서 7월 3주차의 점유율 변동 수치는 전반적으로 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서울이 2.17%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을, 경기도가 1.72%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을 했으나

7월 3주차에는 모든 지역에서 특이사항으로 여겨질 만큼의 큰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관심이 집중된 수도권 지역은 어디였을까요?

[수도권 지역별 7월 3주차 닥집 등기부 신규 열람 수]

 

 

7월 3주차에는 서초구가 무려 278건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지역이 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2순위에 오른 강남구의 3배에 달하는 수치로 굉장히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7월 3주차에는 경기도에서 김포시, 광명시가 순위권에 들어왔으며 인천은 순위권에 들지 못했습니다.

상위권 지역의 분포로는 서울 8지역경기도 2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금까지 닥집 데이터로 알아보는 7월 3주차 부동산 트렌드였습니다.

⬆ 클릭 시 닥집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